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상생임대주택, 집주인과 세입자에게 모두 이로운 제도 알아보기

by 밥안하는여자 2025. 7. 3.

🏘️ 상생임대주택 제도란?

  • 상생임대주택 제도는 세입자에게는 안정적인 거주, 집주인에게는 세금 혜택을 주는 ‘상생’ 모델입니다.
  • 상생임대주택이란, 세입자와 임대료 인상률을 5% 이하로 제한한 임대차 재계약을 맺고,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 집주인에게 양도소득세 비과세나 장기보유특별공제 혜택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.

✅ 적용 요건

  1. 임대료 보증금 인상률 제한: 직전 계약 대비 ≤5% 인상
  2. 임대 기간:
    • 직전 계약: 최소 1년 6개월 유지
    • 상생임대 계약(갱신 또는 신규): 최소 2년 이상 임대
  3. 주택 조건:
    • 수도권 및 조정대상지역, 전용면적 85㎡ 이하 주택
  4. 계약 체결 기간:
    • 2021년 12월 20일 ~ 2026년 12월 31일 사이 체결된 계약이 대상 

🎁 핵심 혜택

  • 양도소득세 비과세:
    • 조정대상지역이라도 2년 거주 요건 없이 비과세 적용 가능
  • 장기보유특별공제 적용: 실거주 요건 없이 적용됨
  • 세입자 보호: 임대료 급등 없이 거주 안정 확보

 

📝 절차 요약

  1. 계약 체결: 기존 세입자와 5% 이하 인상으로 계약 갱신 또는 신규 체결
  2. 국세청 신고: 홈택스 또는 세무서에 상생임대주택 계약서 신고
  3. 양도 시 적용: 양도소득세 신고 시 해당 제도 적용하여 비과세 및 공제 신청

⚠️ 유의사항

  • 임대료는 반드시 직전 계약 대비 ≤5% 인상이어야 합니다.
  • 임대 기간 요건 준수 필수 (직전 ≥1.5년, 상생계약 ≥2년)
  • 제도 적용은 기한 내 계약에 한정, 기한 지나면 혜택 불가 

✔️ 실무 팁

  • 계약서에 정확한 임대료 조항 반영하고, 증가율 계산 근거 문서 확보
  • 직전 계약 및 상생 계약 모두 신고 및 보관
  • 양도 시 꼭 특례신청서 및 계약서 첨부하여 세무 신고

📈 요약

구분 내용

임대료 인상 ≤5%
직전 계약 기간 ≥1년 6개월
상생 계약 기간 ≥2년
주택 면적 ≤85㎡
계약 기간 2021.12.20 ~ 2026.12.31
혜택 양도세 비과세 + 장기보유특별공제
신고 국세청 계약 신고 및 양도 시 특례 신청

더 구체적인 계산 예시, 절차별 서류 가이드, 활용 전략이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말씀해 주세요.체계적이고 실질적인 대응을 도와드리겠습니다.

 

✅상생임대주택이란? – 집주인과 세입자 모두에게 이로운 제도

요즘 부동산 시장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임대사업 관련 제도들도 많이 바뀌고 있습니다. 오늘은 집주인과 세입자 모두에게 혜택을 주는 "상생임대주택" 제도에 대해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드릴게요.

 

📋 요건 요약

항목 조건

임대료 인상률 직전 계약 대비 5% 이내
계약 대상 기존 세입자와 재계약 (신규 계약도 가능)
임대 기간 직전 계약 1년 6개월 이상 유지 + 상생 계약 2년 이상
주택 조건 전용면적 85㎡ 이하, 조정대상지역 등
계약 시기 2021.12.20 ~ 2026.12.31 사이 계약

💰 집주인에게 주는 혜택

  • 양도소득세 비과세 적용:
    기존에는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 중 ‘2년 실거주’ 요건이 있었지만,
    상생임대 조건을 충족하면 실거주 없이도 비과세 가능.
  • 장기보유특별공제 적용:
    실거주하지 않아도 장기보유공제율 최대 80%까지 적용 가능.

📌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

기존 계약
보증금 3억 / 월세 30만 원

재계약
보증금 3억 200만 원 / 월세 31만 5천 원

👉 인상률 약 5% 이내, 재계약 기간 2년 이상 유지 시
상생임대주택 요건 충족!
→ 양도 시 비과세 및 장기보유공제 혜택 가능


🧾 신고는 어떻게 하나요?

  • 상생임대계약은 계약 후 국세청 홈택스 또는 관할 세무서에 등록해야 합니다.
  • 양도소득세 신고 시에는 상생임대특례 신청서 + 임대차계약서를 반드시 첨부해야 합니다.

📌 임대인께 드리는 한 마디

“내 집을 임대하면서도 세입자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, 동시에 세금 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 기회입니다.
특히 향후 주택을 처분할 계획이 있는 1주택자라면 상생임대주택 제도를 전략적으로 활용해보세요.”


📌 사례별 시뮬레이션

 

사례 기존 보증금 기존 월세 신규 보증금 신규 월세 인상률(계산) 상생임대요건 충족 여부

A 300,000,000원 300,000원 302,000,000원 315,000원 5.0% 충족
B 250,000,000원 500,000원 262,500,000원 525,000원 5.0% 충족
C 320,000,000원 0원 336,000,000원 0원 5.0% 충족

 

💡 계산 기준

    인상률 = (보증금 인상률 + 월세 인상률) ÷ 2

  • 예) A사례
    • 보증금 인상률: (302,000,000 - 300,000,000) ÷ 300,000,000 = 0.667%
    • 월세 인상률: (315,000 - 300,000) ÷ 300,000 = 5.0%
    • 평균 인상률: (0.667% + 5.0%) ÷ 2 = 약 2.83% → 5% 이하 → 충족

 

💡초보자도 쉽게 상생임대 계산을 할 수 있는 웹사이트들을 정리해드립니다.

🌐 1. 한국부동산원(LH) – ‘주택 전월세 전환 계산기’

  • 기능: 전세·월세 전환율 및 인상률 자동 계산 (환산보증금 반영)
  • 활용 예시: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하거나 반대로 계산할 때 유용 

🌐 2. 렌트홈 (국토부 민간임대주택등록시스템)

  • 기능: 임대료 인상률 계산 및 임대차계약 신고 기능 포함
  • 특징: 공식 사이트, 표준계약 신고 시 바로 계산 가능